축산 데이터베이스 디지털화 및 시장 수급 예측 강화

출처 : nhachannuoi.vn (Vietnam Channuoi)
제공 : KUVEC / VKLI (번역)
2024년 9월 26일 Hà Giang / Nguồn tin: VietnamNet

축산업의 수익은 330억 달러에 달하며, 우리나라 수백만 농가의 생계와 직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축산국 관계자는 축산업 데이터베이스의 디지털화를 추진해 생산 조절, 시장 수급 예측 및 가격 관리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베트남의 축산업은 주력 산업으로 자리 잡아왔으며, 대규모 상업 축산으로 점차 전환되고 있고, 베트남의 축산업은 약 600만 농가의 생계와 직결되어 있다.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축산업의 성장률은 약 5.72%로 추정되며, 산업 전체 매출은 330억 달러 이상에 달해 농업 GDP의 26%, 국가 GDP의 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중 돼지 사육은 주력 분야로, 전체 가축 생산량의 62%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세계 평균 돼지고기 생산 비율보다 약 20% 높다.

수급 예측의 미흡으로 시장 가격
불안정과 수급 불균형이 발생 중

돼지 사육 부문에서 베트남은 과거에는 자급자족을 위한 소규모 축산에 의존했으나, 2023년에는 세계 5위의 돼지 사육 국가이자 6위의 돼지고기 생산 국가로 알려지게 되었다.

베트남의 축산업에는 많은 데이터가 존재하지만 대부분 수작업으로 수집되었으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연계가 부족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가격 변동이 크고, 시장 수급이 불안정한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축산업의 ‘병목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Pham Kim Dang 부국장은 앞으로 돼지 사육을 포함한 전체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강화하고 실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축산업의 국가 데이터베이스를 신속하게 구축하고, 전국적으로 축산 데이터를 업데이트, 관리,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 및 적용할 예정이다.

종합된 데이터를 분석해 현실에 맞는 평가와 경고, 생산 능력 및 시장 수급 예측을 통해 농가와 기업의 생산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가축, 가금류, 달걀, 육류, 우유, 가공 제품 등을 위한 농산물 거래소를 구축할 예정이다.

특히 데이터베이스 디지털화는 시장 수급과 가격 예측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바탕으로 생산 조절이 가능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