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의 확산에 농가 피해 대책 촉구

출처 : 월간축산
제공 : KUVEC / VKLI (번역)
2024년 8월, 556호 – 월간축산 / 장영내

경북 영천·안동·예천 사육 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잇달아 발생하면서 확산을 막기 위한 사투가 벌어지고 있다. 환경부는 야생 멧돼지 포획 강화라는 대책만 내놓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근 농가 피해가 심각하다며 긴급 행동 지침(SOP) 개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대한한돈협회가 개최한 ‘ASF 대응책 마련을 위한 현장 전문가 회의’ 모습
경북은 ASF가 우리나라에 유입된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한 건도 발생하지 않은 곳이다. 하지만, 최근 경북지역에서만 한 달 새 영천, 안동, 예천 3곳에서 ASF가 발생하였다.
정부의 강력한 차단방역 시설과 조치를 이행하고 준수해 온 농가들로서는 야생 멧돼지 포획에 미온적인 방역 당국에 불만이 클 수밖에 없다.

환경부도 ASF가 경북지역에서 멧돼지와 사육 돼지를 가리지 않고 연속해 발생하자 8일에 ‘경북지역 ASF 멧돼지 확산 방지 총력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경북지역 ASF 발생 지방자치단체 중 하한선에 있는 상주, 영천, 대구, 군위를 비롯해 서남부 쪽 비발생 지자체 김천 구미 칠곡 청도 경산 경주 등 모두 9개 시 군을 대상으로 멧돼지 포획 수색 대응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양돈농가를 비롯한 한돈 업계는 환경부 대응 방안에 대해 하나 마나 한 재탕 삼탕 대책이라고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지난해 11월에도 이번 대책과 비슷한 <야생 멧돼지 ASF 겨울철 중점 관리 대책>을 내놨지만, 12월 부산을 비롯해 올해 들어 경북지역 곳곳의 멧돼지와 사육 돼지에서 ASF가 발병하고 있다며 실효성 없는 처방을 반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돈협회는 ‘ASF 대응 마련을 위한 현장 전문가 회의’를 열어 도축장 역학 범위 축소와 이동 제한 기준 완화 등 ASF 긴급 행동 지침 개정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중지를 모아서 정부에 건의했다.

이주원 농식품부 구제역 방역과 사무관은 회의에서 “어떻게 농가 피해를 줄이면서 방역 조치를 하느냐가 핵심”이라며 “순차적으로 자세히 보면서 검토하겠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