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nhachannuoi.vn (Vietnam Channuoi)
제공 : KUVEC / VKLI (번역)
2024년 12월 31일 TS. Lương Hương Giang
https://nhachannuoi.vn/kinh-nghiem-quan-ly-va-dau-tu-phat-trien-chan-nuoi-cua-mot-so-quoc-gia-phat-trien-va-bai-hoc-cho-viet-nam-ky-i/
[베트남 축산잡지] – 축산업은 베트남 농업 발전 전략에서 중요한 분야로 여겨지고 있다. 선진국의 축산 관리 및 투자 경험을 베트남의 축산업 발전에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덴마크의 젖소사육 | 호주는 세계에서 가장 발전되고 효율적인 축산업을 보유한 국가로 평가받는다. 식품 안전과 동물 복지에 중점을 두며, ‘우수 축산 관행(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의 기준 설정 및 시행에 적극적이다. 호주의 축산업은 연방 정부와 각 주의 긴밀한 협력하에 관리되고 있다. 동물 관리 및 법 제정 과정에서 공공과 민간, 축산업과 경제의 다른 분야 간의 협력이 이루어진다. |
호주는 RFID 및 전자 귀표 등 비침습적 식별 방식을 도입하여 가축을 효과적으로 관리한다. 수의사 양성을 위해 정부 주도로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인증된 수의사들이 농장에서 예방 접종, 수출 준비, 장거리 이동 시 동물 관리 등을 지원하도록 한다.
덴마크의 축산업은 농민 소유의 협동조합을 기반으로 관리된다. 전체 생산 과정을 통합적으로 동물 건강, 복지, 약물 사용과 관련된 문제를 관리한다. 또한, 축산 연구에 많은 투자로 농장 실험과 대학 연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덴마크는 축산업에서 항생제와 항미생물제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위 사례는 베트남 축산업 관리와 투자에 있어 다음과 같은 방향을 고려하도록 시사한다.
효과적인 관리 시스템 구축, 중앙정부와 지역 간의 협력을 강화하여 법과 정책을 효과적으로 시행, 가축 식별 시스템 도입으로 추적과 질병 관리 개선, 연구 및 교육 투자 확대, 농업 연구 개발을 위한 투자와 협력 확대, 수의사 교육 프로그램 강화 및 농민과 전문가 간의 협력 증진, 환경 및 복지 기준 강화, 동물 복지 및 환경 보호 정책 도입, 항생제 사용 감소와 지속 가능한 축산 관행 적용, 선진국의 성공적인 축산 모델을 참고하여 베트남은 축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