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구조적 수급 불안 해소. 소비로 푼다.

출처 : 축산신문
제공 : KUVEC / VKLI (번역)
2024년 9월 10일 – 축산신문 / 서동휘

민 · 당 · 정 협의 통해 한우산업 중장기 발전 대책을 발표했다. 사료 구매 자금 1조 원 지원과 암소 1만 두 추가 감축, 쇠고기 관세 철폐 대비 자급률 40% 유지 등에 초점을 맞췄다.


▲한우를 고르고 있는 소비자
농림축산식품부가 이번 10일에 개최되었던 민 · 당 · 정 협의회에서 ‘한우 수급 안정 및 중장기 발전 대책’을 발표했다.
최근 한우 가격은 명절 수요 등으로 지난 6월 하순 이후 지속해서 상승 중이다.
한우 사육 기간은 30개월 이상으로 단기간의 수급 대응이 힘들다. 농가 피해가 증가하고, 소비자는 한우의 가격이 비싸다는 선입견이 생긴다.

상황이 이러자 정부는 현재 대대적인 할인 행사와 함께 급식·가공업체 등에 한우 원료육 납품 지원을 확대하는 등 소비 확대 사업을 펼치고 있다. 소비 확대로 농가는 출하량을 늘리고, 소비자들은 값싸게 한우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2025년에도 사료 구매 자금을 1조 원 수준으로 유지하는 한편, 공급과잉의 해소를 위해 기존 13만 9천두 감축분에 더해 농협을 통해 암소 1만 두를 추가로 감축하기로 했다.

또, 구조적 수급 불안을 해소하고 주요국 쇠고기 관세 철폐에 대비해 한우에 대해 국내산 자급률 40%대를 유지할 수 있도록 중장기 산업 발전 대책을 마련했다.

정부는 지난 2023년 9월부터 전문가, 생산자단체 등과 19차례의 협의를 통해 ‘한우산업 발전 대책’을 준비해 왔는데 이를 확정·발표한 것이다.

한우 사육 기간의 단축을 통해서 생산비의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스마트팜을 오는 2027년까지 30%를 보급하기로 하였다.

한우의 긴 생육 특성을 생각해서 3년 전의 송아지 생산 단계부터 사전에 경보체계를 마련하고, 과잉이 예상되는 경우 농가·생산자단체·지자체가 참여해 증산 억제 및 사육 감축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유통과정에서는 도 · 소매의 가격 연동 강화를 위해서 농협의 가격 선도 기능을 강화하고 온라인 거래 및 직거래를 확대한다.